CEN, Developed high-efficiency solar cells that withstand extreme with KIMS
페이지 정보
댓글 0 조회 1,199 작성일 20-12-30 10:31본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정부출연연구기관인 한국재료연구원(KIMS, 원장 이정환) 표면재료연구본부 송명관 박사 연구팀과 ㈜ CEN (대표 이요한 / 경남테크노파크, Nano Convergence Center, GNTP 입주기업) 연구총괄책임자인 한상철 박사는 부산대학교 이형우 교수, 한국항공대학교 신명훈 교수와 함께 은(Ag) 입자가 포접된 다공성(메조포러스) 실리카 나노구상입자를 이용해 극한환경에서도 작동하는 고효율의 고체 섬유형 태양전지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11일 밝혔다.
전하수송층인 다공성-이산화티타늄(TiO2) 층은 비표면적(표면적/부피)이 높아 광활성층인 염료의 흡착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높은 밴드갭(Eg = 3.2 eV)으로 인해 가시광 영역에서의 광 수확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연구팀은 이를 보완하고자 광촉매가 합성된 전하수송층 소재 개발에 집중했다. 연구팀은 다공성-이산화티타늄 층에 은(Ag)이 내장되어 있는 이산화규소(SiO2) 나노입자를 합성하여 국부적 표면 플라스몬 공명(LSPR, Localized Surface Plasmon Resonance)을 통해 향상된 광 수확과 전하수송 효과를 얻었다. 이를 통해, 고체섬유형 태양전지의 실험군 대비 약 36% 향상시킨 5.3% 이상의 광전변환효율(PCE, Power Conversion Efficiency)을 얻을 수 있었다.
고성능 및 고안정성 고체 타입의 섬유형 태양전지 산업은 기존의 실리콘 태양전지에 비해 저렴한 비용과 가공의 용이성, 소재의 유연성과 다양성 등의 강점을 바탕으로, 미래 웨어러블 및 프린터블 시장 등으로 대표되는 유비쿼터스 태양전지 시대를 선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기술은 낮은 단가와 간단한 합성방법을 이용해 대량생산 뿐만 아니라 태양전지의 광전변환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은(Ag)이 내장되어 있는 다공성 이산화규소(SiO2) 나노입자를 이용하여 극한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이 가능하는 섬유형 태양전지를 개발하였다.
연구책임자인 한국재료연구원 송명관 책임연구원은 “극한환경에서도 안정한 고체 타입의 섬유형 태양전지 구현을 위해, 전하수송층 개발의 새로운 관점을 제시했다.”며, “향후 배터리와 같은 에너지 저장장치와 접목시켜 다양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공급 장치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기술의 핵심 소재를 개발한 CEN의 한상철 박사는 “세계 최초로 메조포러스 실리카 나노입자 (MSNs)를 대량생산 할 수 있는 CEN의 SMBTM기술을 통해서 태양광 발전효율에 획기적인 기틀을 마련되기를 바라며, 4차 산업과 우리 정부가 추구하는 재생에너지 및 2050 탄소중립 비전 정책에도 기여 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본 연구성과는 한국재료연구원 주요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또한, 이번 연구결과는 응용 물리, 소재 과학 분야의 세계적 학술지인 ‘나노 리서치(Nano Research)’에 1월 10일자 표지논문으로 선정됐다. 현재, 연구팀은 본 기술을 배터리와 접목시켜 에너지 생산뿐만 아니라 저장까지 가능하도록 하는 에너지 융합연구를 수행 중에 있다.
[출처 : 매일경제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20/12/1273478/]